문화 / 직장 내 여성의 지위

A1 입문
Share

직장 내 여성의 지위


한국에는, 한국 사회에는 여성 사업가가 있나요?흔한 일인가요 아니면 드문 일인가요?사장 등 상사가 여성일 때에는 어떤 반응을 보이나요?한국 영화, TV 프로그램 또는 드라마에서 남성과 여성은 어느 정도로 독립적이고 주도권을 장악한 것으로 그려지나요?

"그랑제꼴에 입학하는 여성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한 지 30년이 넘었고, 여성 경제활동 인구가 46%에 달하지만, 회사 내에서 중역을 맡고 있는 여성의 비율은 6%에 불과하고 대기업 총수 중 여성의 비율은 5%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L’Observateur de l’OCDE 2008년 5-6월, 제 267호

TV5MONDE처럼 여성이 회사 CEO직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프랑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직위가 낮고 임금을 적게 받는다.
게다가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시간제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직장 생활과 양육

한국에서는, 한국 사회에서는 낮에 누가 아이를 돌보나요?아이의 어머니, 아버지, 조부인가요 아니면 이웃이나 보모가 돌보나요?여성이 사회생활을 하는 경우, 보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나요?2주에서 6개월까지 육아 휴가를 얻어 어린 자녀를 돌볼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유럽의 프랑스어권 여성들은 출산 휴가를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는 출산 휴가가 16주, 퀘백에서는 18주입니다.
남성들도 자녀 출생 시 출산 휴가를 쓸 수 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2002년부터 남성 출산 휴가 제도(배우자 출산 시 주어지는 휴가 일수 3일 외 11일까지 사용 가능)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남성 출산 휴가 제도 이용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남성의 70% 정도가 출산 휴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남성들은 단기간 유급 육아 휴가를 쓸 수도 있습니다.

프랑스와 벨기에에서는 부모들이 3세 미만의 어린이들을 탁아소나 보모에게 맡기고 직장에 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엄마가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반면 아빠가 일정 기간 직장 생활을 그만 두고 아이를 돌보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실전 연습문제

문화:직장 내 여성의 지위

A1
연습문제 4개
보다 • 문화간 (직업생활)